전체 글(83)
-
[IntelliJ] IntelliJ profiles 옵션 지정하기
[IntelliJ] IntelliJ profiles 옵션 지정하기 - IntelliJ local, dev 옵션 지정하기 - 개발을 하다보면 local에서 1차 테스트 후, 2차로 dev 서버에 올리는 경우가 있는데 application.yml 에 -dev, -local 이라 명명한 뒤 spring.profiles.active = local(혹은 dev)를 수정하면서 test를 했다. 하지만 package를 할 때마다 local을 dev로 변경해서 배포를 하게 되는데 간혹 local로 설정해서 실수 할 때가 있다. 여기서는 spring.profiles.active=dev를 고정한 상태에서 local에서 실행하게 되면 local로 실행되게끔 설정하려고 한다. 요약 Edit Configurations -> B..
2022.01.19 -
SpringBootServletInitializer는 왜 사용하는것일까?
SpringBootServletInitializer는 왜 사용하는것일까? 요약 사용이유 : war 확장자로 배포할 경우 사용 @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HomepageApplication extends SpringBootServletInitialize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pringApplication.run(HomepageApplication.class, args); } } | Spring Initializr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'extends SpringBootServletInitializer'를 상속받지 않은 채로 프로젝트가 생성이 된다. 하지만 war 파일로 압축하여 배포를 할 경우 'Sp..
2022.01.03 -
[시놀로지 Docker] mysqld: Can't read dir of '/etc/mysql/conf.d/' (Errcode: 13 "Permission denied")
[시놀로지 Docker] mysqld: Can't read dir of '/etc/mysql/conf.d/' (Errcode: 13 "Permission denied") 시놀로지 NAS의 Docker에 docker-compose.yml로 MariaDB 구축중에 발생한 Error. 이유 : 권한 문제 volumes: - ./mariadb/data:/var/lib/mysql - ./mariadb/config:/etc/mysql/conf.d | 로컬 폴더에 엑세스 할 때 발생하는 에러로 권한을 부여 혹은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면 된다. ■ 해결 방법 | 폴더의 속성에서 권한->생성->Everyone을 추가한다. 관리를 제외한, 읽기&쓰기만 체크 후 완료. 다시 docker-compose를 실행하면 정상..
2021.12.15 -
[H2 DB] Database not found, either pre-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ERROR (90149)
[H2 DB] Database not found, either pre-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ERROR (90149) h2 db를 만지다 보면 이것저것 에러가 많이 난다. 그중 하나가 db 생성인데 생각보다 놓치기 쉬운 ERROR이기 때문에 포스팅하게 되었다. * login.do?jsessionid=0865fc77e102a79f53d4395b0e91b0d2 jsessionid에서 뒤 id는 절대 삭제하면 안된다. 1. Database not found ERROR | DB가 만들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. DB를 만들어주면 되는데 생각보다 쉽게 만들 수 있다. *.mv가 h2 db에서 사용하는 Database인데 test2.mv가 없어서 Not Fo..
2021.12.02 -
[Tomcat] Spring Boot 프로젝트 Tomcat 10에서 배포하기
[Tomcat] Spring Boot 프로젝트 Tomcat 10에서 배포하기 Tomcat9에서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WAR파일로 package한 뒤, Tomcat 폴더 내의 webapps에 ROOT.war로 올리면 Spring Boot가 기동되었는데 Tomact10부터는 조금 달라졌습니다. | 기본적인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* 프로젝트가 이미 준비되었으면 아래 [배포] 단계로 넘어가 주세요. [TestTomcatApplication.java] @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TomcatApplication extends SpringBootServletInitialize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..
2021.12.01 -
[Docker] Nginx-tomcat 로드밸런서(Load Balancer) 구현하기 / feat.docker-compose
[Docker] Nginx-tomcat 로드밸런서(Load Balancer) 구현하기 # Tree ├── docker-compose.yml ├── mariadb │ ├── config │ └── data ├── nginx │ └── config │ └── nginx.conf ├── tomcat1 │ └── webapps │ └── index.html └── tomcat2 └── webapps └── index.html # docker-compose.yml version: "3.3" services: nginx: image: nginx container_name: nginx restart: always ports: - 80:80 volumes: - ./nginx/config/nginx.conf:/etc/n..
2021.11.17